Project
![[API 보안 인 액션]: Past-Forward 프로젝트와 더불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mD0nc%2FbtsJe9mP9cs%2F9rcVv31uwIv9gPLadTZAfk%2Fimg.jpg)
[API 보안 인 액션]: Past-Forward 프로젝트와 더불어
[API Security In Action]을 읽고 알게된 새로운 지식과 더불어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예시로 이해한 것을 기록하는 포스팅입니다.따라서, 해당 포스팅에 등장하는 예시들은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훨씬 많다는 점과 책을 읽으며 알게 된 지식에 대한 내용이 더 많다는 점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Past-Forward`회고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백엔드팀: 리더`, `PM팀: 팀원`으로 참여했습니다.👤 앞선 말 & 책을 선택하게 된 계기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저는 정말 개발 언어라고는 하나도 모르던 비전공 졸업생이었습니다.* 정말 해본 거라곤 MySQL 조금과 마크업 언어인 HTML, CSS뿐이었어요. 그야 저는 사실 마케터 지망생이었거든요...ㅎ도대체 당시에 무슨 생..

API 명세서, 근데 도대체 API가 뭔데요?
프로젝트 개발 단계에 들어가면서 API 명세서를 만들어서 API별로 업무분담을 하기로 했어요. 근데 큰일입니다. 제가 API가 뭔지 정확히 모르겠거든요. 그래도 다행인 건 제가 뭘 모르는지 아주 잘 알고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공부한 내용을 제 방식대로 이해해 적어봅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솔직히 풀어서 봐도 하나도 감이 안 오는 API의 뜻이네요... 그래서 이게 뭔데... 뭔가 상호작용한다는 건 알겠거든요? 그래도 여전히 감이 팍 오지 않는 건 제가 완전 새싹이기 때문이겠죠. 이렇게 애매모호한 것을 참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그림을 그렸습니다. 어때요 이러니까 좀 감이 오시나요? API = 점원 인 겁니다. 손님(= 프로그램)이 점원(= API)에..
![[데이터베이스: MySQL VS NoSQL] 우리 백엔드팀은 왜 MySQL을 쓰기로 결정했을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klicC%2FbtsE1DYiTMv%2Fn4kj5B6fPBs2UgGcR6FS51%2Fimg.png)
[데이터베이스: MySQL VS NoSQL] 우리 백엔드팀은 왜 MySQL을 쓰기로 결정했을까?
https://academind.com/tutorials/sql-vs-nosql을 보고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spring에서는 MySQL django에서는 SQLite node.js에서는 NoSQL 을 사용한다고들 하는데 왜, 대체 왜 그렇게 쓰는 건지 궁금해서 쓰게 된 글입니다. 써보고 싶은 거 쓸 수도 있는 거 아니냐고요... 💡Summary MySQL vs NoSQL = SQL vs NoSQL = Schema, Relationship vs No Schema, No Relationship = 다 있는 애 vs 다 없는 애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쿼리 언어' = 데이터베이스와 의사소통하는 언어! 라는 뜻입니다. 그럼 어떤 데이터베이스와만..
![[유저스토리 작성법] 그래서 User Story (유저 스토리)는 대체 뭐고 어떻게 쓰는건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9xx7i%2FbtsELpFZEuC%2FoFJ097w90MSaqEns8WKbCk%2Fimg.png)
[유저스토리 작성법] 그래서 User Story (유저 스토리)는 대체 뭐고 어떻게 쓰는건데!!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여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https://medium.com/is-that-product-management/what-is-a-user-story-cbe9c72a134b [User Story] User: 말 그대로 사용자입니다. 예로 웹사이트를 하나 만든다고 하면, 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user=사용자가 되겠죠. Story: 얘도 위에 유저랑 같아요 이야기입니다. 근데 이제 사실은 아닌 것이에요. 가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쉽게 생각해서 User Story는 사용자의 가상 이야기인 겁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 위에 들었던 웹사이트 예시로 설명해볼게요. 어렵지 않습니다.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가상의 이야기에요. 기획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