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데이터베이스: MySQL VS NoSQL] 우리 백엔드팀은 왜 MySQL을 쓰기로 결정했을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klicC%2FbtsE1DYiTMv%2Fn4kj5B6fPBs2UgGcR6FS51%2Fimg.png)
[데이터베이스: MySQL VS NoSQL] 우리 백엔드팀은 왜 MySQL을 쓰기로 결정했을까?
https://academind.com/tutorials/sql-vs-nosql을 보고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spring에서는 MySQL django에서는 SQLite node.js에서는 NoSQL 을 사용한다고들 하는데 왜, 대체 왜 그렇게 쓰는 건지 궁금해서 쓰게 된 글입니다. 써보고 싶은 거 쓸 수도 있는 거 아니냐고요... 💡Summary MySQL vs NoSQL = SQL vs NoSQL = Schema, Relationship vs No Schema, No Relationship = 다 있는 애 vs 다 없는 애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쿼리 언어' = 데이터베이스와 의사소통하는 언어! 라는 뜻입니다. 그럼 어떤 데이터베이스와만..
SQLD 3
1. 데이터 독립성 1) 데이터 독립성의 필요성 간단하게 말하면, 개별적인 데이터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고 다른 서비스와 결합해서도 의미가 있다는 거예요! 이렇게 되면 독립적인 데이터는 개인의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그것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겠죠. 원래는 데이터 종속성이라는 게 있었어요. 보통 이건 Application(사용자 요구사항을 처리하는 사용자 접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을 말해요. 원래는 데이터를 구성할 때 파일 형식으로 했대요. 그래서 인덱스를 따로 구현해서 접근해야 했어요. 문제는 이게 발전하면서 점점 난해해졌다는 거죠. 그런 면에서 데이터 독립성은 계속해서 늘어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복잡도를 낮출 수 있으면서 중복된 데이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